2025 임업 산림 공익직불금 신청방법


2025 임업 산림 공익직불금 신청방법


임업·산림 공익직불금 신청기간은 3월~4월까지! 온라인·방문신청 방법과 자격조건, 주의사항까지 한번에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신청방법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놓치면 100만원, 진짜 못 받습니다

임업을 하거나 산림을 경영 중인데 공익직불금? 나랑 상관없어 보인다구요?
하지만 2025년엔 신청 안 하면 최대 100만원 이상 놓칠 수도 있습니다.

산림청은 2025년도 ‘임업·산림 공익직불금’ 신청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접수 받습니다.
대상은 많지만, 조건도 까다롭고 준비 서류도 한두 개가 아니라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헷갈려서 신청 포기하는 분들 정말 많아요

신청 방법만 2가지, 조건은 법령기준 + 면적기준 + 활동기준까지.
심지어 제외 대상 산지까지 따로 정해져 있어요.

  • 내가 대상이 맞는지조차 모르겠다
  • 신청서류가 너무 복잡하다
  • 면적이나 소득 기준이 뭔지 헷갈린다

그래서 그냥 포기? 그건 진짜 손해예요.


3분 정리로 끝내드립니다

📅 신청기간
- 비대면 온라인: 2025. 3. 1 ~ 3. 31
- 방문 신청: 2025. 4. 1 ~ 4. 30

📍 신청방법
- 온라인: 임업인 통합포털 접속 → 본인인증 → 신청자격 조회
- 방문: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자격 요약
- 1년 이상 임업활동
- 면적 기준: 임가 0.1ha 이상 / 농업법인 5ha 이상
- 판매금액: 연 120만 원 이상
- 실제 거주지 요건 충족

🚫 제외되는 산지
- 국유림, 공유림
- 등록되지 않은 산지
- 개발제한구역 등
- 1년 이상 방치된 임산물 생산 불가 산지

📺 영상으로 보고 싶다면?
유튜브로 신청방법 보기


조건만 되면 최대 130만원까지 받습니다

- 소규모임가직불금: 130만 원 (0.5ha 이하)
- 면적직불금: 94만~32만 원/ha (면적에 따라 차등)
- 육림업 직불금: 실제 육림 활동 면적 기준 차등 지급

📤 지급시기: 보통 11~12월 중, 지급대상 확인 후 개별 통지


이런 분들 꼭 챙기세요

  • 작년에 신청 놓쳤던 분
  • 면적 조건 맞는데 대상인지 확신 없는 분
  • 기존 수령자지만 정보 변경이 생긴 분
  • 신규 임가로 처음 신청하는 분

✔️ 산지 등록 여부 + 임업경영체 등록 여부 확인은 필수!


지금 신청 안 하면, 못 받습니다

📅 신청 마감일: 2025년 4월 30일
📌 관련 서류, 조건은 산림청 공고문에서 꼭 확인하세요.



다음 이전